리뷰쟁이

구글 애널리틱스(google analyrtics) 기본 보고서 이해하기 (잠재고객) 본문

코린이

구글 애널리틱스(google analyrtics) 기본 보고서 이해하기 (잠재고객)

하루리뷰하나 2019. 12. 27. 02:00
반응형

혼자 여러 채널과 온라인 서칭을 통해 GA(google analtics)를 공부하면서 스스로 이해하고 공부한 부분을 쉬운 말로 정리해보려고 해요. GA보고서는 크게 실시간, 잠재고객, 획득, 행동, 전환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어요. 첫 번째로 정리할 보고서는 잠재고객 보고서입니다~!

 

우선 잠재고객 보고서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,  

잠재고객: 우리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의미한다. (실시간 보고서에서 집계된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잠재고객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.)

잠재 고객은 우리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의미해요. 즉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발생시키는 페이지뷰 수부터 평균 세션 시간, 지역, 운영체제 등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죠.

 

잠재고객>개요

  1. 앞으로의 확인하는 모든 데이터는 스스로 설정한 특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의미해요!
  2. 사용되는 사진은 구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데모 계정의 캡처 본입니다.

사용자: 특정 기간 동안 우리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 (같은 IP로 접속해도 브라우저가 다르면 브라우저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카운팅 해요))


신규 방문자: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설정한 기간 동안 기존 사용자를 제거한 신규 방문자 수


세션(session): 방문자가 총 몇 번 방문했는지 알 수 있어요. 특정 기간 동안 한 번 방문할 수도 있지만 2번 3번 그 이상을 방문할 수도 있죠.  

 

사용자당 세션수: 방문자가 한 번와서 발생시키는 세션 수를 의미해요. 세션은 기본적으로 30분 동안 아무런 작동이 없으면 초기화되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.  


페이지뷰 수: 사용자가 와서 발생시키는 페이지 뷰수(한 명이 하나의 세션 동안 10개의 페이지 뷰수를 기록할 수도 있어요!)


세션당 페이지수: 세션 내에서 발생시키는 페이지 뷰수.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서 몇 개의 페이지를 보고 나가는지를 보여주는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.


평균 세션 시간: 말 그대로 사용자가 사이트에 들어와서 머무는 평균 세션 시간

 

이탈률: 주로 GA와 상호작용이 1회인 세션은 이탈률로 간주한다고 합니다!

 

잠재고객>활성사용자
:내가 선택한 날짜를 기준으로 1일, 7일, 14일, 28일 이전 날짜 동안의 사용자 수를 카운팅한 것

 

1일 활성 사용자, 7일 활성 사용자, 14일 활성 사용자, 28일 활성 사용자


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'7일 활성 사용자'가 의미하는 것은 지정한 날짜를 포함해서 7일 전까지 사용자 데이터. 즉 내가 선택한 날짜를 기준으로 1일, 7일, 14일, 28일 이전 날짜 동안의 사용자 수를 카운팅한 것(누적된 값이니, 28일 활성 사용자 그래프가 가장 상단에 위치하겠죠!?)

잠재고객>동질집단분석

:동일한 특성으로 고객을 묶어 놓은 것을 의미합니다.

첫 방문일 기준으로 사람들을 동일한 특성으로 묶어둔 데이터입니다. 우리사이트를 처음 방문한 사람이 다음날 얼마나 재방문을 했는지와 같은 것들을 알 수 있어요.

잠재고객>사용자탐색기 

(슬프게도 데모 계정에서는 볼 수 없는 데이터입니다...)
:어떤 사용자가 우리 페이지를 많이 방문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.
이 보고서를 통해서 자주 방문하는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고, 그들이 어떤 페이지를 클릭하는지와 같은 데이터를 알 수 있죠.

 

잠재고객>인구통계

:구글이 추정해서 제공해주는 데이터라고 해요. 그래서 100% 정확하지는 않다고 합니다.

 

잠재고객>언어, 위치
:브라우저에 있는 언어 세팅값을 가져간다고 하네요. 
>위치: ip
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해요.

 

잠재고객>행동>방문빈도 및 최근 구매일


세션 수 1 의미:처음 방문
세순 수 5 의미:이전에 4번 방문하고 5번째 방문하면 카운트 1을 추가!

 

제가 공부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. 부족한 부분은 열심히 공부해서 다음 포스팅에 반영하도록 할게요!

 

cf_ GA(google analytics)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건 신기하면서도 조금은 무서운(?) 분석 툴이라는 점입니다:-) 그만큼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해서 활용한다면 분명 유용한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을 것 같아요. 

반응형
Comments